728x90 반응형 TSMC3 삼성전자 퀄컴의 핵심 AP 릴레이 수주 삼성전자 퀄컴의 핵심 AP릴레이 수주 삼성전자가 퀄컴의 고급형 AP 스냅드래곤 875에 이어 중상급 AP 750물량을 따냈네요 이것을 8나노 공정으로 수주를 했네요. 이런분위기라면 TSMC가 파운드리 1위에 대해서 좀 긴장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 드네요. 이번에는 TSMC의 허점을 파고든 틈새시장을 공략했는데요. 7nm공정으로 생산을 하면 대당2000억원 EUV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비가 비쌉니다. 이것을 삼성전자가 8nm생산하기에 가격이 저렴해집니다. 엔디비아의 RTX30용 GPU도 8nm로 생산중에 있죠? 정말 8nm의 힘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패키징 기술 경쟁에도 뛰어들고 꾸준한 기술투자 영향으로 삼성전자가 TSMC와 대등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삼성전.. 2020. 10. 7. 삼성전자 2021년 4나노 예정 TSMC보다 선점 삼성전자 2021년 4나노 예정 삼성전자가 2021년에 4나노 양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만의 TSMC는 2021년 5.6나노 예정이죠 7월달에는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초격차를 위해 열심히 준비중이네요. 트렌스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5,6나노 양산을 진행하고 내년에는 4나노 양산을... TSMC와 초격차를 한다는 얘기인데 정말 긍정적입니다. 계획대로 된다면 파운드리에서 많은 수주를 받을 텐데 어찌될지 한참 지켜봐야 할듯합니다. 2020. 10. 6. TSMC 이번엔 삼성 파운드리 핵심 GAA기술을 훔치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들려오는 뜬금없는 소리가 있어 알려드립니다. TSMC가 중국 SMIC에 기술유출을 한다는 소문에 이어 GAA기술 MBCFET 기술을 훔쳤다는 소리가 있습니다. 2024년 MBCFET 기술을 적용한 2nm 제품을 양산할 계획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MBCFET : Multi-Bridge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 삼성은 이것을 2019년 4월 3nm 공정 설계에 처음으로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7나노 대비 칩공간45% ,전력 50% 절감, 성능은 30% 향상을 시킬수 있다고 합니다.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TSMC가 삼성전자의 독자적인 아이디어를 자체 개발이란느 명분으로 훔쳐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GAA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 2020. 10. 2. 이전 1 다음